본문 바로가기

농사/농민 뉴스30

고구마 심는 시기와 심는 방법 핵심 8가지 고구마 심는 시기와 심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고구마는 심는 목적, 환경, 품종, 경험, 취향 등 변수가 많습니다. 해서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중에서 사람들이 많이 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저는 집에 먹을 만큼 텃밭에 심기 때문에 제 경험과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글을 쓰겠습니다.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고구마는 보통 언제 심을까요? 1. 고구마 심는 시기 중부지방 고구마 심는 시기는 보통 5월 초~5월 중순에 많이들 심습니다. 요즘은 날씨가 따뜻해져서 조금씩 빨리 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빠른 거 좋아하잖아요? 어떤 분들은 중부지방인데 4월 중순에 심을까 고민하시기도 합니다. 무조건 빨리 심는다고 좋은 건 아닙니다. 품종과 날씨에 맞게 심으셔야 빨리 캐고 예쁜 고구마.. 2021. 1. 11.
공익형 직불금 신청자격 안녕하세요. 수줍은 농부입니다. 오늘은 공익형 직불금 신청자격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1년 이상 1000m²(약 300평) 농사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올해 처음으로 농사를 지으셨다면 직불금 신청을 할 수 없죠. 올해 기준 3년 이내 농사를 지었어야 합니다. 2017년, 2018년, 2019년 중에 농사를 지었어야 신청자격이 생깁니다. 물론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진짜 농부여야겠죠? 아무 자격 없이 농사만 지어서는 안 됩니다. 전업농업인, 후계농업인, 전업농육성대상자로 선정된 신규 농업인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법적으로나 실질적으로 농부가 농사를 1년 이상 지었어야 한다는 말이죠. 그래서 처음 농사짓는 사람은 직불금 신청을 할 수 없어요. 그러면 나는 영영 못 받나?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그건 아.. 2020. 12. 4.
2020년 공익형직불금 농업직불금 지급시기 2020년 공익형직불금 농업직불금 지급시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직불금이 나올 때가 됐는데 하고 알아봤죠. 올해는 11월 5일부터 지급합니다. 올해부터 공익형 직불금으로 바뀌었죠? 해서 기대가 큽니다. 지급 시기는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겠죠? 늦어도 올해 안으로 다 줄 것 같습니다. 저는 작년에 12월에 받았네요. 아직 안 들어왔고요. 조금 더 기다려야겠습니다. 그래도 코로나 때문에 좀 빨리 시작하네요. 공익형직불금 금액 공익형직불금은 소농 직불금과 면적 직불금으로 나뉩니다. 소농 직불금은 면적이 0.5ha(약 1500평) 이하인 사람에게 줍니다. 소농 직불금은 일 년에 120만 원을 줍니다. 저는 약 1300평을 짓는데요. 소농 직불금에 해당합니다. 작년에 보니까 30만 원정도 받았어요. 작년에 비하면 엄청.. 2020. 11. 30.
히카마(얌빈,멕시코감자)의 효능 재배법 안녕하세요 수줍은 농부입니다. 히카마는 멕시코가 원산지입니다. 얌빈 또는 멕시코 감자로 불립니다. 감자처럼 뿌리를 먹는 작물입니다. 줄기나 잎은 독성이 있어 먹으면 안 됩니다. 줄기나 잎에 독성이 있기 때문에 병충해에 강합니다. 그래서 친환경 농사를 짓기 쉬운 작물입니다. 건강에도 좋겠죠. 허핑포스트에서 20대 건강식품으로 뽑았습니다. 슈퍼푸드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러면 히카마의 효능과 재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히카마(얌빈, 멕시코 감자)의 효능 히카마는 이눌린 성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들에게 도움을 줍니다. 또한 이눌린 성분은 대장암을 예방해줍니다. 히카마는 탄수화물과 수분이 많습니다. 미량의 단백질도 있습니다. 변비에도 좋습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하거든요.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줍니다... 2020. 3. 4.
알로에 사포라니아 효능 껍질에 집착하는 이유 저녁을 먹으면서 6시 내고향을 봤다. 직업은 못 속인다. 30대 중반 남자가 6시 내고향을 보는 사람은 드물다. 그래도 별 수 있나? 재밌는 걸 어쩌란 말이가. 아무튼, 알로에 사포라니아가 나왔다. 알로에는 알겠는데 사포라니아? 사포닌이 들어 있어서 이름이 사포라니아라고 한다. 여기까진 놀라지 않았다. '뭐 몸에 좋은가 보네'라고 생각했다. 내가 이끌린 건 껍질채 먹는다는 것이었다. 나는 껍질채 먹는 음식을 좋아한다. 이 정도면 중독이다. 내가 껍질을 좋아하게 된 이유를 적어보겠다. 껍질에 집착하는 이유 농사를 지으면서 하나 알게 된 것은 껍질에 좋은 성분이 다 들어 있다는 것이다. 사람도 피부가 우리를 지켜준다. 작물도 마찬가지다. 껍질에 자신을 보호하는 좋은 물질이 가득하다. 그동안 우리는 껍질을 하.. 2020. 2. 22.
공익직불제, 입법예고? 꼼수 부리지 맙시다 안녕하세요. 수줍은 농부입니다. 요즘 농촌의 화두는 '공익직불제'입니다. 돈을 주니까요. '얼마나 줄까?' 항상 궁금했습니다. 이번에 세부 시행방안이 발표됐습니다. 그동안 알려진 이야기에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면 공익직불제 세부 시행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소농직불금 소농직불금을 받으려면 농지가 0.5ha 이하여야 합니다. 일 년에 120만 원을 줍니다. 한 가족이 다 합쳐도 1.55ha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개인이 농외소득, 즉 부수입이 2,000만 원보다 적어야 합니다. 한 가족은 4,500만 원보다 적어야 합니다. 축산업은 소득이 5,600만 원보다 적어야 하고요. 시설재배업은 3,800만 원 보다 적어야 합니다. 꼼수 부리지 맙시다 소농직불금을 타려고 꼼수 부리지 맙시다. 직불금을 신청할 .. 2020.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