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1. Home
  2. 농사/텃밭 농사
  3. 농막 신고 절차 3가지 방법

농막 신고 절차 3가지 방법

· 댓글개 · ◎_◎
반응형

농막 신고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직접 방문해서 신고하는 방법, 2.인터넷 접수, 3.대행업체를 통해서 신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신고를 하기 전에 농막 준비 서류가 필요합니다. 농막 준비 서류에는 어떤 게 있을까요?

 

 

농막 신고 서류

 

농막 신고 서류에는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서, 농막 배치도, 농막 평면도, 토지 소유 입증서류,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서는 시군구청에 가시면 있습니다. 아니면 인터넷에 '새움터'라고 검색하시면 거기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농막 배치도는 내가 지도상 어디에 지을건지 표시한 서류를 말합니다. 인터넷 지도(구글, 네이버, 다음)를 뽑아서 직접 손으로 표시해도 됩니다. 정확한 위치를 알아보기만 하면 되나까요.

 

농막 평면도는 농막을 파는 시공업체나 설계사무소에 물어보면 됩니다. 그러면 농막 평면도를 줄 겁니다. 본인이 능력자라면 서식에 맞게 직접 그리셔도 됩니다. 

 

본인 토지 입증 서류는 농지에 소유권이 있는 사람이라는 걸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보통 지자체에 가서 부동산 등기부등본을 뽑아서 가시면 됩니다. 인터넷등기소(www.iros.go.kr)에서 출력하셔도 됩니다. 땅을 빌려서 하시는 경우나 다른 사람 명의일 경우는 사용 승낙서를 받아서 제출하셔야 합니다. 대리 신고일 경우는 위임장을 받아서 내셔야 하고요.

 

신분증도 꼭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 둘 중 하나는 있어야 합니다. 뭐 이건 기본이나 길게 말하지 않고 넘어가겠습니다.

 

1. 직접 방문해서 신고

 

관할 지자체에 있는 건축과에 가시면 됩니다. 위에 말한 준비물은 꼭 챙겨 가시고요.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미리 전화해서 빠진 서류는 없는지 확인하고 가시면 됩니다. 저는 직접 방문해서 신고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인터넷을 잘하시면 굳이 방문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관련 공무원의 전문 지식과 최신 정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혹시 내가 빠뜨린 게 있을 수도 있습니다. 잘못 알고 틀린 방법으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 공무원이 보고 확인해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맥도 무시 못합니다. 이 세상은 혼자 살아갈 수 없습니다. 시골에 살면서 한 명이라도 더 알아두는 게 나중에 큰 힘이 됩니다. 특히 시골은 더하고요. 농사와 관련된 공무원을 알아둔다는 건 큰 힘이 됩니다. 굳이 아부를 떨 필요는 없습니다. 오며 가며 인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인터넷 접수

 

인터넷에 새움터(www.eais.go.kr)를 검색합니다. 화면 중앙에 잘 찾아보시면 <가설건축물 축조신고>가 보입니다. 그것을 클릭하셔서 신고하시면 됩니다. 본인이 하기 힘들다면 인터넷을 잘하는 사람이나 젊은 친구들에게 부탁하면 됩니다. 그것도 힘들다면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직접 지자체에 찾아가셔서 접수하시면 됩니다.

 

대행업체

 

대행업체나 농막 제작업체에 돈을 주고 신고할 수 있습니다. 직접 하시기가 복잡하고 어려움을 느끼시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이 이용하시면 좋습니다. 대행업체를 이용하는 게 꼭 비효율적이거나 나쁜 건 아닙니다. 이렇게 해서 스트레스를 덜 받고 그 시간에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니까요.

 

마치며

 

지금까지 농막 신고 절차를 알아봤습니다. 글로 써놓고 보니 꽤 복잡해 보입니다. 하지만 일반 건축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해보면 아시겠지만 정말 쉽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요. 제 글재주가 부족해서 복잡해 보일 뿐입니다. 작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요.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 글

 

 

 

농막 설치기준 정리 및 아쉬운 점

농막 설치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농막은 농사짓는 땅에 필요한 작은 집을 말합니다. 약 6평 정도 됩니다. 농사짓는 땅에 집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집을 짓자니 절차도 까다롭고 돈도 많이 들

dngstory.tistory.com

 

 

반응형
SNS 공유하기
💬 댓글 개